
👩🏻💼소연:“선배님, 저 졸업 후에 기획 직무 신입으로 지원해보려고요. 그런데… 전 직무 경험이 없어서 포트폴리오에 뭘 넣어야 할지 막막해요.”🧑🏻💼선배:소연아, 그 말 공감돼. 신입 기획자는 대부분 실제 업무 레퍼런스가 없지.업무 레퍼런스가 없는 신입에게 포트폴리오를 요구하는 게맞나 싶기도 하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 자질을 파악해서 옥석을 가리고자하는 기업의 입장도 충분히 이해가 돼. 여기서 중요한 건 '자질'이야. 자질을 갖춘 기획자는 사고방식과 문제를 풀어나가는 방식에서그렇지 못한 기획자와 차이가 있기 마련이야. 그렇기 때문에'어떤 경험을 했는가'의 측면을 고민하기 보다는‘어떤 사고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나가는 사람인가’를 보여주는 게 중요해.👩🏻💼소연:사고방식과 문제를 풀어나가..

👩🏼💼 한나:선배님! 저 요즘 느끼는 건데요,같은 말을 해도 사람을 확 끌어당기는 기획자가있더라고요. 커뮤니케이션 능력…그게 진짜 실력인 것 같아요. 일 잘하는 기획자는 뭐가 다른 걸까요?🧑🏻💼 선배:음~ 아주 좋은 질문이다! 한나님.사실 기획자는 ‘말’과 ‘문장’으로 일하는직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야.커뮤니케이션에서의 차이는 단순히 말만 잘하는 게아니라, 명확하게, 맥락 있게, 공감하며 소통하느냐에 달려있지.🧑🏻💼 선배:여기서 일반적인 기획자와 일 잘하는 기획자 간의차이를 따져볼 때, 설명의 방식, 문서 작성, 회의 태도나갈등 상황에서의 처리, 메시지 전달 방식 등을 토대로 판단해 볼 수있을 텐데, 하나씩 설명해줄게. 구분일반 기획자일 잘하는 기획자나는 어디?설명 방식기능 중심 ..

🧑🏼💻재우:선배님, 요즘 회사에서도 AI 도구들을 점점 많이 쓰는 것 같아요. 그런데 저는 막상 어디에 어떻게 써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AI를 진짜 잘 활용하는 기획자들은 뭐가 다른 걸까요?🧑🏻💼선배:좋은 질문이야, 재우님. 점점 질문의 퀄리티가 올라가네? 사실 AI는 도구일 뿐인데, 그걸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실력이 확 달라져. 내가 보기에 AI를 잘 활용하는 기획자는 이 세 가지 특징을 갖고 있어.🧑🏻💼선배:첫번째, 문제의 해결 관점에서 AI를 바라봐야해.예를 들어, 기획서 초안을 빠르게 작성해야 할 때 그냥 “기획서 써줘”라고 명령하는 게 아니라,“이런 제품의 런칭 기획서를 구성하려는데 어떤 섹션으로 나누는 게 좋을까?”라고 문제를 구조화해서 질문해. 이런 사람이 진짜 A..

👩🏻💼 소연 :선배님, 요즘 제 기획이 늘고 있는 건지 잘 모르겠어요. 기획 실력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뭘까요?🧑🏻💼 선배 :소연님처럼 고민하는 건 이미 좋은 출발점이야.기획 실력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만들고, 써보고, 고쳐보는 거야.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왜 이렇게 했는가’를 끊임없이 되묻는 거지. 아래 몇 가지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해볼게.근데, 내가 암만 얘기해줘도 안할거잖아?ㅎㅎㅎ 그냥 듣고 끝내지 말고 꼭 실천해보길 바래.🧑🏻💼 선배 :기획 실력의 향상을 위해서 5가지의 방법을 실천하면 좋아.먼저 서비스를 분해해보는거야. 여기서의 분해는 벤치마킹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말 그대로의 분해를 의미해. 예를 들어볼게. 음.. 소연님이 매일 같이 이용하는 당근마켓 서..

👩🏻💼 소연 :“선배님… 요즘 일을 하고는 있는데,‘나는 지금 잘하고 있는 걸까?’‘내가 작년보다 나아진 게 맞을까?’ 하는 생각이 자꾸 들어요.”🧑🏻💼 선배 :소연님, 그런 감정 너무 자연스러운거야.사실 ‘성장 중’이라는 감각은 당장 내가 변한 게 보여서가 아니라,앞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믿음에서 나오는 거거든?성장은 성취가 아니라 과정 인식에서 오는 감정이야.우리가 성장한다고 느끼려면, 그걸 감지할 수 있는 프레임이 필요해.예컨데 이런 거야. 단계질문설명1단계요즘 '처음 해보는 일'을 했나?익숙한 일만 계속하고 있으면 성장은 체감되지 않습니다.2단계최근 어떤 실수에서 '배움'을 얻었나?실수나 피드백은 성장의 촉매제 역할을 합니다.3단계최근 했던 고민 중 기억에 남는 건 뭔가?고민의 깊이도..

👩🏻💼 재우:선배님, 요즘 진짜 AI 얘기 너무 많이 나오잖아요.ChatGPT는 물론이고, 기획자도 Midjourney나 Perplexity 같은 걸 써야 한다는 말도 많고요.그럼 우리 같은 기획자는 AI 시대에 뭘 준비해야 할까요?🧑🏻💼 선배:진짜 중요한 질문이네.AI 시대에 기획자는 도구의 유저를 넘어 ‘기획자로서의 무기 네 가지’를 새롭게 장착해야 해.먼저 "Prompt Engineering, 즉 말 잘하는 능력"을 키워야해. 이게 무슨 말이냐면요즘은 기획서를 쓸 줄 아는 능력보다 AI를 설득할 줄 아는 능력이 더 중요해진 시대야.다시 말해 ChatGPT와 같은 AI에게 무엇을/어떻게, 왜 원하는지를 명확하게 말해야 원하는 결과물이 나와.즉, 기획자의 사고 체계 자체가 프롬프트가 된다..

한나:선배님… 혹시 회의 때 말 잘하는 팁 있으세요? 전 자꾸 회의만 하면 머리가 하얘져요.회의 전에 메모도 해보고 시뮬레이션도 해봤는데, 막상 제 차례가 오면 목이 딱 막히는 느낌이에요…선배 :한나님, 너무 공감되는 이야기야. 나도 신입 때는 회의 자리만 앉아도 심장이 빨리 뛰었는데그런데 그 감정은 ‘실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평가받고 있다”는 긴장감 때문이더라.사실 회의는 발표가 아니라 “말을 섞는 자리”야.그렇게 생각을 바꾸면 좀 편해질거야.한나:맞아요.. 저도 뭔가 말 잘해야 할 것 같고,엉뚱한 말 하면 ‘왜 저래’ 할까 봐 걱정돼요.선배 :그 감정이 너무 자연스러운 거야.근데 그걸 너무 피하려고만 하면 ‘아예 안 말하게 되는 루프’에 빠질 수 있어.그래서 작은 습관부터 바꾸는 게 좋을 것 같아...

유리 :“선배님, 기획자 포지션으로 이직 준비 중인데요, 제가 1년 정도 경력 공백이 있거든요.면접에서 어떻게 설명해야 덜 불리할까요?”선배 : 유리님, 누구나 커리어를 쉬는 시기가 생길 수 있어요.그 자체로 불리한 건 아니에요.중요한 건 그 시간을 어떻게 보냈고, 지금 어떻게 연결 지을 수 있는지예요.만일 제가 유리님의 입장이라면 이런 부분을 생각할 것 같아요.먼저 공백 이유는 명확하고 간결하게 설명해야 해요.예컨데 건강 상의 이유나 직무의 방향성을 탐색했다거나 하는 이유가 있을텐데,"왜 쉬었는지"보다는 쉬면서 무엇을 했고 무엇을 배웠는지에 집중하는 설명이 필요해요.또한 기획자로써 감각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활동을 했는가도 중요해요.사이드 프로젝트를 했다거나 기존 포트폴리오의 업데이트와 Figma, S..

소연 :선배님… 저 사실 좀 걱정돼요.3년 차인데 벌써 세 번째 회사를 다니고 있거든요.주니어일수록 한 회사에 오래 있는 게 좋다는 말도 있고,이직이 잦으면 커리어에 불이익이 있다는 얘기도 많아서요…정말 그런가요?선배 :음, 소연님. 이직 생각 있어? 아직 하산할 때가 안되었는데..일단 질문에 대한 답을 하자면 ‘경우에 따라’ 다르다고 말해주고 싶어.단순히 횟수만으로 평가하진 않지만, 이직의 ‘맥락’과 ‘메시지’가 없다면 불리할 수도 있지.내 관점에서 볼 때 이직의 횟수보다 중요한 3가지의 포인트가 있어. 항목채용자(면접관)가 보는 핵심 질문방향성"이 사람은 커리어의 방향성을 가지고 움직이고 있나?"성장성"이직마다 실력과 책임이 커졌는가?"맥락성"왜 옮겼는지 설득력 있게 설명 가능한가?"선배 :만일 잦은..

한나 :선배님, 저… 이번에 디자이너랑 같이 작업하다가 좀 부딪혔어요.전 기능을 빠르게 정리해서 개발에 넘기고 싶었는데, 디자이너는 사용자 경험을 더 고려하자며 계속 의견을 내더라고요. 기획자는 일정도 챙겨야 하니까 자꾸 조급해지는데…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하죠? 서로의 입장이 너무 다른 것 같아요.선배 :한나님, 그 마음 정말 이해돼.나도 처음엔 디자이너랑 말이 안 통해서 많이 헤맸거든.근데 시간이 지나면서 깨달아지더라구. 기획자랑 디자이너는 ‘다른 목표를 가진 동료’가 아니라,같은 목적지를 가는 다른 시선의 동료라는 걸 말이지. 기본적으로 이런 입장 차가 있어. 역할주요 관점핵심 목표기획자논리, 기능, 일정 비즈니스서비스를 "잘 작동하게" 만드는 것디자이너감성, 경험, 흐름, 맥락서비스가 "잘 느껴지..